LuvSea
[MFC 기초] AppWizard 본문
1.MFC App Wizard-단계 1
AppWizard-단계 1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과 리소스(resourse)에서 사용할 언어를 설정한다.
어플리케이션 유형에는 SDI어플리케이션, MDI어플리케이션, 다이얼로그 기반 어플리케이션이 있다.
구분 |
내용 |
Single document |
단일 문서를 작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이를 SDI(Single Document Interface)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메모장(Notepad.exe)이 여기에 해당된다. |
Multiple document |
다중 문서를 작업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이를 MDI(Multiple Document Interface)어플리케이션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시스템 편집기(Svsedit.exe)이 여기에 해당된다. |
Dialog based |
다이얼로그 기반의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윈도우 기본 오락인 지뢰찾기가 여기에 해당된다. |
리소스에 사용할 언어 |
콤보 박스에서 사용할 리소스 언어를 선택한다. 자신의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DLL에 따라서 지원하는 언어 항목이 다르게 나타난다. |
2.MFC AppWizard-단계2
AppWizard-단계2는 데이타베이스지원과 관련된 사양을 선택할 수 있다.
구분 |
내용 |
None |
Database를 지원하지 않는(Database를 지원하는 클래스를 포함하지 않는다.)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
Header files only |
Database를 지원하는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헤더파일(AFXDB.H)만 추가되므로 원하는 클래스를 직접 추가해서 사용해야 한다. |
Database view without file support |
Database를 지원하는 클래스(CRecordView나 CDaoRecordView에서 파생된 뷰와 CRecordSet이나 CDatRecordSet에서 파생된 레코드 셋 클래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단 파일 지원이 되지 않는다. |
Database view with file support |
Database를 지원하는 클래스(CDRecordView나 CDaoRecordView에서 파생된 뷰와 CRecordSet에서 파생된 레코드 셋 클래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
Data Sourse 버튼 |
데이터 소스이름(DSN) 또는 MDB의 위치를 설정하는 대화상자가 출력된다. 동시에 도큐먼트 클래스에 파일 지원을 위한 코드가 추가된다. |
3.MFC AppWizard-단계3
AppWizard-단계 3에서는 OLE(Object linking &Embedding)지원과 관련된 욥션을 설정한다.
구분 |
내용 | |
OLE compound document(OLE 복합문서) |
None |
OLE를 지원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
Container |
OLE를 컨테이너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 |
Mini-server |
OLE복합문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OLE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단, 독립적으로 실행이 되지 않는다.(컨테이너 프로그램내에서만 수행된다.) | |
Full-server |
OLE복합문서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OLE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Mini-server와 다른 점은 독립적으로 실행된다. | |
Both container and server |
OLE 컨테이너와 서버 역할을 동시에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ActiveX document server**ActiveX문서를 생성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이 어플리케이션에서 생성된 문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3.0이상 버전에서 In-place활성화가 된다. | |
OLE compound file |
Yes, please |
생성된 OLE컨테이너 어플리케이션이 OLE복합파일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한다. |
No, Thank You |
생성된 OLE컨테이너 어플리케이션이 OLE복합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게 한다. | |
다른 기능 지원 |
Automation |
자동화기능을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
ActiveX |
ActiveX 컨트롤을 사용 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
4.MFC AppWizard-단계 4
AppWizard-단계 4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WOSA(Windows Open Services Architecture), 파일 확장자, 윈도우 스타일 등을 설정한다.
구분 |
내용 | |
사용자 인터페이스 옵션 |
Docking toolbar |
도킹 툴바를 생성한다. |
Initial status bar |
상태바를 생성한다. | |
Printing and Print Preview |
파일 메뉴에 인쇄와 미리보기 메뉴가 추가되고 관련 코드가 생성된다. | |
Context-sensitive Help |
문맥 감지형 도움말을 지원하는 도움말 파일이 생성된다. | |
3D controls |
대화상자가 3차원으로 출력된다. |
WOSA
MAPI
Message API를 지원하기 위한 헤더 파일이 추가되고 파일 메뉴에 Send(편지 보내기)메뉴와 관련 코드가 생성된다.
Windows Socket
Winsocket API를 지원하기 위한 헤더 파일이 추가 된다.
MRU file list
최근에 사용한 파일 리스트 갯수
MRU(Most Recently Used)는 가장 최근에 사용한 파일을 말하며 파일 메뉴에 지정한 개수만큼 파일 리스트가 추가된다.
Advanced 버튼
Advanced Options 다이얼로그가 출력된다.
구분 |
내용 |
File extention |
파일 확장자를 지정한다. |
File type ID |
레지스트리에서 사용되는 문서 타입 ID를 지정한다. |
Main frame caption |
어플리케이션의 캡션바에 출력될 제목을 지정한다. |
Doc typr name |
새로운 도큐먼트 템플릿이 추가되면 File에서 New 메뉴 항목을 선택했을때 다이얼로그가 출력되는데 이때 사용되는 타입 이름을 지정한다. |
Filter name |
파일열기(open)나 다른 이름으로 저장(save as) 다이얼로그의 파일 형식 콤보 박스에 출력될 문자열을 지정한다. |
File new name |
OLE Object의 짧은 이름으로 사용된다. |
File type name |
개체삽입 다이얼로그의 object type리스트 박스에서 사용되는 타입이름을 지정한다. |
구분 |
내용 | |
Use spliter window |
분할 윈도우의 사용여부를 설정한다. | |
Main frame styles |
Thick frame |
메인 프레임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
system menu |
메인 윈도우의 시스템 메뉴 사용여부를 설정한다. | |
Minimize box |
메인 윈도우에서 아이콘화 버튼의 사용여부를 설정한다. | |
Minimized |
메인 윈도우를 아이콘화로 활성화할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윈도우 95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 |
Maximize box |
메인 윈도우에서 최대화 버튼의 사용여부를 설정한다. | |
Maximized |
메인 윈도우를 최대화로 활성화할 것인지의 여부르 설정한다. (윈도우 95에서는 사용하지 않음) | |
MDI child frame style |
Thickframe |
차일드 프레임 윈도우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
Minimize box |
차일드 윈도우에서 아이콘화 버튼의 사용여부를 설정한다. | |
Minimized |
차일드 윈도우를 아이콘화로 활성화 할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 |
Maximize box |
차일드 윈도우에서 최대화 버튼의 사용 여부를 설정한다. | |
Maximized |
차일드 윈도우를 최대화로 활성화할 것인지의 여부를 설정한다. |
5.MFC AppWizard-단계 5
AppWizard-단계 5에서는 AppWizard에 의해 생성된 소스 파일의 형식을 설정한다.
구분 |
내용 | |
Comments |
Yes, please |
AppWizard에 의해 생성된 소스 코드에 주석문을 추가한다. |
No,thank you |
AppWizard에 의해 생성된 소스 코드에 주석문을 추가 하지 않는다. | |
MFC library |
As a shared DLL |
어플리케이션에 링크할 MFC라이브러리를 지정하는데 있어 공유 DLL을 사용하면 EXE의 크기가 작아지는 대신 별도의 DLL을 EXE와 함께 배포해야한다.(공유DLL) |
As a statically linked library |
라이브러리가 EXE에 포함되므로 EXE가 커지는 대신 별도의 DLL없이 실행 가능하다.(정적 링크 라이브러리) |
6.MFC AppWizard-단계 6
마지막 단계인 AppWizard가 생성할 클래스명과 소스파일명을 변경할 수 있다. 특히 뷰 클래스의 경우는 Base class란에서 기초 클래스를 변경할 수 있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MFC 기초] 자동생성 클래스 분석 - CMainFrame (0) | 2009.10.13 |
---|---|
[MFC 기초] 자동생성 클래스 분석 - CWinApp (0) | 2009.10.13 |
[MFC] 프로세스 접근 권한 얻어오기 (0) | 2009.10.08 |
Tistory에 syntaxHighlighter 적용 (0) | 2009.10.06 |
VMWare에서 Window - 가상Window간 폴더 공유 (0) | 2009.10.06 |